npm은 node.js에서 의존성 관리를 위해 사용한다.
개인적으로 자주쓰는 npm에 대한 사용법을 정리한다.

현재 프로젝트 하위에 node_module 폴더를 만들어 해당 모듈을 설치한다.
–save이나 –save-dev를 뒤에 붙이게 되면 package.json에도 설치하는 패키지를 같이 추가시켜준다.
프로젝트 디렉토리에서 단순히 npm install만 입력하게 되면 package.json에서 정의된 모듈들이 설치되게 된다.

현재 프로젝트의 node_module에 설치하는것이 아닌, 시스템 전역으로 설치하기 위해 사용한다. grunt-cli, browserify 등의 커맨드라인 명령어를 제공하는 모듈을 설치할때 주로 이렇게 한다.
물론, 위의 모듈도 -g를 제외하고 설치할 수 있다. 이땐
프로젝트/node_module/.bin/browserify
위의 경로로 실행할 수 있다.

npm outdated도 같은 명령어다. 설치된 모듈중 업데이트가 필요한 모듈을 알아보기 위해 실행한다. 물론 -g를 붙여서 전역 모듈중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설치된 모듈을 트리형태로 보여준다. package.json에도 없고 –save,–save-dev등으로 설치하지 않은 패키지의 경우 이름 옆에 extraneous 라고 나오게 된다.

package.json에 start 항목이 정의가 되어있는 경우, 그 내용을 실행한다. 대부분 grunt나 gulp등과 같이 쓰여 자동 빌드나 실행등을 하게 한다.

자주쓰는 npm 명령어
Tagged on: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