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를 browserify로 빌드하기

react의 구동 환경은 브라우저임에도 불구하고 react 컴포넌트들을 다운받아 보면 var React = require(‘react’); 이와 같이 시작하고 있는 것들을 심심찮게 보게 된다. 물론 이런 문법이 바로 브라우저에서 돌아갈리는 만무하다. 그래서 이럴때 필요한게 바로 browserify나 webpack이다. 개인적으로 browserify를 사용하므로 이에 대해 알아보자.

자주쓰는 npm 명령어

npm은 node.js에서 의존성 관리를 위해 사용한다. 개인적으로 자주쓰는 npm에 대한 사용법을 정리한다.

현재 프로젝트 하위에 node_module 폴더를 만들어 해당 모듈을 설치한다. –save이나 –save-dev를 뒤에 붙이게 되면 package.json에도 설치하는 패키지를 같이 추가시켜준다. 프로젝트 디렉토리에서 단순히 npm install만 입력하게 되면 package.json에서

React Native 시작하기 – 설치

부제 : 자바스크립트로 아이폰과 안드로이드 네이티브 앱 동시에 만들기 글쓰는 시점의 React Native의 버전은 Mac OS X에서 구동을 합니다. (곧 릴리즈 될 RC버전에서 윈도우에 대한 지원이 추가될 예정입니다.) 1. Node.js 설치하기 React Native는 JavaScript로 프로그램을 작성하게 됩니다. JavaScript의 구동환경인 Node.js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