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lect parameter, value from nls_database_parameters where parameter = ‘NLS_CHARACTERSET’
ActiveX를 사용중인지 검사해보려면?
Windows 10의 Edge나 구글 크롬의 NPAPI지원 중단에 맞물려서 요 몇달간 Active X로 굉장히 떠들썩 한것 같다. 특정 사이트에 ActiveX가 있는지, 웹 표준을 잘 지키고 있는지 검사를 하고싶다면 아래의 주소로 방문하면 된다. http://koreahtml5.kr/jsp/diagnosis/SP04.jsp
웹접근성 체크를 할때 사용되는 툴
웹 퍼블리셔들이 웹접근성을 체크할때 사용하는 툴은 아래와 같다. KW3C – https://www.nia.or.kr/nia_popup/KW3C/kw3c.html K-WAH – http://www.wah.or.kr/Participation/k-wah.asp Open WAX – https://chrome.google.com/webstore/detail/openwax/bfahpbmaknaeohgdklfbobogpdngngoe?hl=ko W3 Validator – http://validator.w3.org
react-native init으로 새로운 프로젝트 생성시 실패할 때
$ react-native init ProjectName 위의 명령을 입력했다가 아래와 같은 상황에 마주쳤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 npm ERR! Darwin 13.4.0 npm ERR! argv "/usr/local/bin/node" "/usr/local/bin/npm" "install" "--save" "react-native" npm ERR! node v4.0.0 npm ERR! npm v2.14.2 npm ERR! shasum check failed for /var/folders/zj/6kg3tgzj4tq59qkjby48f4cw0000gn/T/npm-6489-ef2af11b/registry.npmjs.org/which/-/which-1.1.2.tgz npm ERR! Expected: 486c48af6dfecc7a7dcf9c655acf108d2dcbdf3d npm ERR! Actual: da39a3ee5e6b4b0d3255bfef95601890afd80709 npm ERR! From: https://registry.npmjs.org/which/-/which-1.1.2.tgz npmERR! npm ERR! If you need help, you may report this error at: npm ERR! <https://github.com/npm/npm/issues> npm ERR! Please include the following file with any support request: npm ERR! /Users/cesilphp/Downloads/react_app/npm-debug.log `npm install --save react-native` failed |
npm에 문제가 있었는지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실행해서 해결하였다. $ sudo chown -R $(whoami) “$HOME/.npm” $ npm -g install npm 출처 : https://github.com/npm/npm/issues/7555
TmaxSoft의 WebtoB와 JEUS 실행, 종료
지금 근무하는 곳에서 TmaxSoft의 제품들을 사용하고 있기에 간단한 명령어들을 정리한다. WebtoB WebtoB는 TmaxSoft의 웹서버이다. (아파치, IIS, nginx와 같은) 시작 : $ wsboot 종료 : $ wsdown JEUS 제우스는 TmaxSoft의 WAS(Web Application Server)이다. (Tomcat과 같은 역할) 시작 : $jboot 종료 :
안드로이드의 LinearLayout을 iOS에서도 사용하기!
iOS 기기(아이폰, 아이패드)도 종류가 많아지고 스크린 파편화가 심해지면서 UI작업을 위한 방법들이 지속적으로 추가되어왔다. 이중 당연은 Auto Layout이겠지만 학습과 노하우도 필요하고 생각보다 UI 작업에 시간이 많이 쓰이는게 현실이다. 애플측에서도 이러한 생각을 했는지 iOS9부터는 UIStackView를 지원한다. UIStackView는 Android의 LinearLayout, Web의 Flexbox와 같은 역할을 하며, 말
네비게이션 바에 환경설정 버튼 올리기
iOS 개발을 하다보면 네비게이션 바에 환경설정 버튼을 넣고 싶은 경우가 있다. 네비게이션 바에 올라가는 아이콘의 경우 UIBarButtonItem인데 환경설정 아이콘은 별도로 존재하질 않는다. 이미지로 올려도 되겠지만, 톱니바퀴 모양의 폰트가 있으니 이걸 활용하여 올려보도록 하자. 아이콘은 위와 같이 생겼다. 네비게이션 바에 올리는
NSString이 null(nil)이거나 비어있는지 체크하기
C#에서 스트링이 null이거나 비어있는지 체크할때는
1 2 3 4 |
if (String.IsNullorEmpty(s)) { ... } |
이 코드를 주로 사용하였다. Java의 경우에는 org.apache.commons.leng3.StringUtils를 사용하여
1 2 3 4 |
if (StringUtils.isEmpty(s)) { ... } |
이 코드를 주로 사용하였다. 위와 같은 체크를 하고 싶다면 Objective-C 에서는 아래와 같이 하면 된다.
1 2 3 4 |
if (!s.length) { ... } |
Objective-C의 경우 s가 nil이더라도 타 언어와는 달리
스프링 부트에서 외부 톰캣 사용하도록 변경
스프링 부트는 기본적으로 톰캣을 내장하고 있다. 새로 시작하는 사람들에겐 설정할 단계가 줄어들어 편하겠지만 톰캣이 이미 깔려있거나 톰캣이 깔린 서버에 배포를 원하는 경우 외부 톰캣을 사용하도록 변경해야만 한다. 변경방법은 아래와 같이 build.gradle 파일을 수정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
apply plugin: 'java' apply plugin: 'idea' apply plugin: 'spring-boot' // eclipse 를 제거 하고 eclipse-wtp와 war를 추가 //apply plugin: 'eclipse' apply plugin: 'eclipse-wtp' apply plugin: 'war' |
그리고 Application.java 파일을 아래와 같이 변경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 @ComponentScan @EnableAutoConfiguration public class Applicat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pringApplication.run(Application.class, args); } } */ @Configuration @ComponentScan @EnableAutoConfiguration public class Application extends SpringBootServletInitializer { // Used when launching as an executable jar or war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Exception { SpringApplication.run(Application.class, args); } // Used when deploying to a standalone servlet container @Override protected SpringApplicationBuilder configure(SpringApplicationBuilder application) { return application.sources(Application.class); } } |
ASP.NET MVC Web API에서 POST로 데이터 받기
ASP.NET MVC Web API로 RESTful API 작성할때 POST Method로 데이터를 받는 방법입니다. 1. FormDataCollection을 사용하는 방법
1 |
FormDataCollection.Get(input field name); |
위 와 같은 식으로 간단하게 얻어올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
[HttpPost] public void WRite(FormDataCollection form) { var id = form.Get("title"); var password = form.Get("text"); ... } |
2. FromBody를 통해 파라메터로 받는 방법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public class Board { public string title { get; set; } public string text { get; set; } } [HttpPost] public void Write([FromBody] Board board) { var title = board.title; ... } [HttpPost] public void WriteComment([FromBody] string comment) { ... } |
FromBody도 직관적으로 쉽게 받을 수 있습니다.